본문 바로가기

국채투자2

[채권] 금리인상: 채권투자와 금리: 정책금리/시장금리/중립금리 연초부터 이어진 금리인상으로 안전자산으로 인식되는 채권의 인기가 나날이 높아지고 있다. 계속적인 금리인상이 채권의 금리도 상승시키면서 채권 투자에 대한 매력이 한층 더 높아졌다. 그러면 지금이 채권 사기에 좋은 시기인가? 현 경제 상황이 2008년 리만 사태 때와 비슷하게 버블이 있다는 건 같지만 (여기서 버블의 내용은 좀 다르다. 리만 때는 부동산 버블이었으나, 지금은 유동성 버블이 심하다) 2008년 리만 사태 때는 서브프라임 모기지가 문제여서 미국 개인의 대출 비중이 높았고 이는 민간 영역에 속했었다. 그러나 지금의 버블은 2020년 팬데믹 때부터 돈이 너무 많이 풀어져서 야기된 유동성의 문제로 한 나라의 문제가 아니라 전 세계가 같이 영향을 받고 있는 게 차이점이다. 1. 현재 경제 상황은? 인플.. 2022. 11. 23.
[채권] 금리 상승시기 채권 투자 알아보자 지난 몇 달간 연준의 꾸준한 금리인상으로 현재 4% 대(미국 기준) 금리시대에 살고 있다. 작년만 해도 거의 제로 금리라며 은행에 넣어두면 바보라는 소리를 들었고, 유럽은 마이너스 금리를 유지하던 때 이기도 하다. 다들 이자 적게 내도 된다며 대출받아서 부동산, 주식, 가상자산 등 가리지 않고 사던 시절이 언제였나 할 정도로 올해는 투자가 많이 위축된 상황이 피부로 느껴질 정도로 심리가 가라앉았다. 그런데 금리가 꾸준히 오르면서 새로 각광받는 투자가 있는데 그것이 채권이 아닌가 싶다. 지난 몇 달간 미디어에서 채권 얘기를 참 많이 들은 것 같다. 그래서 오늘은 지금 같은 금리 상승기에 채권은 투자할만한지 대략적인 아이디어를 나누고자 한다. 1. 주식과 채권은 어떻게 다른가? 둘다 미래 수익의 현재가치를 .. 2022. 11. 21.